-
[프로그래머스] 튜플 javascriptFrontend/Algorithm 2022. 6. 23. 13:51
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s result 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[2, 1, 3, 4] 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[2, 1, 3, 4] "{{20,111},{111}}" [111, 20] "{{123}}" [123] 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[3, 2, 4, 1] 입출력 예 #1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3(111, 20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11}, {111,20}}이 되며, 이는 {{20,111},{111}}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4(123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23}} 입니다.
입출력 예 #5(3, 2, 4, 1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3},{3,2},{3,2,4},{3,2,4,1}}이 되며, 이는 {{4,2,3},{3},{2,3,4,1},{2,3}}과 같습니다.
✍ 나의 풀이방식
function solution(s) { var answer = []; let newS = s.replace(/{/g, "").replace(/}/g, "").split(','); let arr = new Map(); for(let i=0; i<newS.length; i++) { if(newS.length === 1) { answer.push(+newS[0]); } else { arr.get(newS[i]) ? arr.set(newS[i], arr.get(newS[i]) + 1) : arr.set(newS[i], 1); } } let newArr = [...arr] for(let [key, val] of newArr) { newArr.sort((a, b) => b[1] - a[1]); } for(let i=0; i<newArr.length; i++) { answer.push(+newArr[i][0]); } return answer; }
주어진 s의 요소들을 한 배열 안에 담아서 newS = [ '2', '2', '1', '2', '1', '3', '2', '1', '3', '4' ]로 만든다.
arr에 맵을 만들고 newS를 돌면서 각 요소와 각 요소의 카운트를 체크한다. arr = Map(4) { '2' => 4, '1' => 3, '3' => 2, '4' => 1}
arr을 복사한 newArr를 요소의 카운트가 많은 순으로 정렬시킨 다음 answer에 요소 값을 넣어서 출력한다.
✍ 다른 사람의 풀이방식
function solution(s) { var answer = []; let newArr = JSON.parse(s.replace(/{/g,'[').replace(/}/g,']')); newArr.sort((a, b) => {return a.length - b.length}); let temp = []; for(let i = 0; i < newArr.length; i++) { for(let j = 0; j < newArr[i].length; j++) { temp.push(newArr[i][j]); } } answer = [...new Set(temp)]; return answer; }
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니 생각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풀 수 있었다..!
newArr에 기존에 string이었던 s를 { -> [, } -> ]로 replace한 뒤 JSON.parse를 통해 Object로 만들 수 있다.
newArr는 각 요소의 길이순으로 정렬을 할 수 있다. newArr = [ [2], [2, 1], [2, 1, 3], [2, 1, 3, 4] ]
각 요소를 빈 temp에 모두 순서대로 넣고 temp = [2, 2, 1, 2, 1, 3, 2, 1, 3, 4] 중복을 제거한다.
간단하게 풀 수 있는 방법을 많이 돌아가서 해결한 것 같아 아쉽긴 하지만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고 더 쉽고 명확한 방법을 찾아내서 좋았다.
✏️ JSON.parse
JSON.parse('{}'); // {} JSON.parse('true'); // true JSON.parse('"foo"'); // "foo" JSON.parse('[1, 5, "false"]'); // [1, 5, "false"] JSON.parse('null'); // null
참고자료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Global_Objects/JSON/parse
반응형'Frontend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삼총사 javascript (0) 2022.06.21 [프로그래머스] 멀리 뛰기 javascript (0) 2022.06.17 [프로그래머스] 신고 결과 받기 javascript (0) 2022.04.12 [프로그래머스] 신규 아이디 추천 javascript (0) 2022.04.08 [프로그래머스] 완주하지 못한 선수 javascript (0) 2022.04.04